본문 바로가기
경제

연말정산 미리보기 하는 방법

by 이점례 2022. 11. 20.

안녕하세요 이점례입니다 ^^

 

연말이 다가오면서 연말정산에 대해 많은 직장인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을 텐데요! 저번 10월 27일부터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가 오픈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연말정산을 통해 세금을 더 내야 하는지 혹은 돌려받을 수 있는 지를 대략적으로 확인하고 남은 기간의 소비 전략을 짤 수 있기 때문에 꼭 이용해야 하는 서비스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연말정산 미리 보기 서비스의 활용법을 알아보도록 합시다 😊

 

홈택스 접속 및 연말정산 미리 보기 화면 이동

홈택스 로그인 화면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상단의 '로그인' 탭을 클릭하여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다음과 같이 여러 로그인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저는 금융인증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진행하였습니다.

 

조회/발급 - 연말정산 - 연말정산 미리보기

로그인이 완료되면 다시 홈 화면으로 이동한 후, 상단의 '조회/발급' 탭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여러 목록이 나타나는데, '연말정산' 부분에서 '연말정산 미리 보기'를 클릭합니다.

 

연말정산 미리보기 진행순서

연말정산 미리보기 진행순서

연말정산 미리보기 화면으로 이동하면 위와 같이 연말정산 미리보기가 어떤 순서로 진행되는지 가이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를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올해 1~9월까지 수집된 사용금액 + 10~12월까지 예측 사용금액을 통해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계산
  2.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를 적용한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
  3. 계산 결과를 토대로 각 항목별 절세 팁 제공 및 최근 3년 간의 공제항목과 비교 그래프 제공

 

연말정산 미리보기 시작하기

연말정산 미리보기가 어떤 순서로 진행되는지 대략적으로 파악되었다면, 이제 연말정산 미리보기를 시작해봅시다. 화면 왼쪽을 살펴보면 세 가지 탭을 확인할 수 있는데, 먼저 Step 1,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줍시다.

 

신용카드 소득공제액 계산하기

근무기간 및 총급여액 수정

총급여액 설정

먼저 올해 근무기간 및 총급여액을 설정해야 합니다. 보통은 지난 지급명세서를 불러온 후, 수정을 진행하면 되는데요! 저는 올해 초부터 직장인이 되었기 때문에 이전 정보가 없어 불러오기는 생략했습니다.

 

부양가족 신용카드자료 선택

부양가족 신용카드자료 설정

다음은 부양가족 정보 설정 및 신용카드자료를 불러오는 부분입니다. 저는 부양가족 혜택 부분은 해당이 없어서 설정하지 않았고, '신용카드자료 불러오기'만 진행하였습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올해 1월~9월까지 본인이 사용한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 등의 지출금액 정보를 가져옵니다.

 

10~12월 신용카드 사용금액 수동설정

10~12월의 카드 사용금액은 예측하여 수동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입력이 모두 완료되면 하단의 '계산하기' 버튼을 누릅니다. 

 

예상 절감세액

예상 절감세액

계산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카드 사용에 대하여 예상되는 절감 세액이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454,179원이라고 되어있네요 ㅎㅎ

 

연말정산 예상세액 계산하기

소득공제

소득공제 항목

본인에게 해당하는 소득공제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인적공제, 기부금, 개인연금저축, 주택청약 등 다양하게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항목들이 있으므로 잘 찾아서 본인이 받을 수 있는 항목들을 설정해줍니다. 저의 경우 해당되는 부분이 얼마 없네요... ㅎㅎ

 

세액감면, 세액공제

세액감면, 세액공제 항목

다음으로 세액감면, 세액공제 항목들입니다. 연금계좌, 특별세액공제 등 다양한 항목들이 존재합니다. 마찬가지로 본인이 받을 수 있는 항목들을 설정해줍니다. 저의 경우 연금계좌에 매 달마다 조금씩 돈을 넣고 있어서 세액공제를 조금이라도 받을 수 있네요! 

 

급여 및 예상세액

예상세액 결과

소득공제와 세액공제 항목 설정이 모두 끝난 후 맨 하단의 '계산하기' 버튼을 누르면 최종적으로 본인이 연말정산 때 납부 혹은 환급받을 수 있는 세금이 얼마인지 결정됩니다. 저의 경우 274,140이 나왔는데요! 이 경우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 (환급은 앞에 -가 붙는다네요!)

 

3개년 추이 및 항목별 절세 팁 보기

해당 페이지에서는 지난 3년 간의 차감징수 세액을 확인할 수 있고, 인적공제, 카드 사용, 교육비, 의료비 등 각 항목에 대한 절세 팁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연말정산 미리보기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공유해 보았습니다. 남은 기간동안 전략을 잘 짜셔서 최대한 세금을 줄이거나 혹은 환급 받을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다음에는 더 좋은 꿀팁을 공유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