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소득공제, 과세표준, 산출세액 계산법을 알아보자

by 이점례 2022. 10. 31.

안녕하세요 이점례입니다 ^^

 

 

카드를 어떻게 사용해야 연말정산에 유리할까?

안녕하세요 이점례입니다 ^^ 슬슬 연말정산 시즌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연말정산 소득공제 항목에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현금영수증이 들어갑니다. 어떤 방법을 쓰냐에 따라 똑같은 금액을 썼

iamleejeomrye.tistory.com

 

이전에 카드를 어떻게 사용해야 연말정산 혜택에 유리한 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연말정산에 대해 이야기하면서 소득공제와 세액공제에 대한 언급을 하였었는데요, 두 용어를 헷갈려하는 분들이 꽤 있는 것 같아 이에 대해 가볍게 이해 해보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오늘은 소득공제에 대해 알아봅시다. 😊

 

소득공제란?

쉽게 말해 소득공제는 우리가 '번 돈'을 덜어주는 개념입니다. 세금은 우리의 소득을 기반으로 매겨지는데요, 소득에는 월급, 상여금 등 경제활동을 통해 받은 모든 돈이 포함됩니다. 세금은 우리의 소득을 기반으로 매겨진다고 했지요? 따라서 소득이 많으면 많을수록 매겨지는 세금의 비율도 높아지는 것입니다. 

 

아무리 납세의 의무가 있다지만 우리가 열심히 번 돈 모두가 세금으로 매겨지면 조~금 억울하겠죠? 그래서 정부는 살아가는 데 필요한 지출은 소득에서 제외시켜 세금을 조금 낮게 매겨지게 하는 소득공제를 지원하는 것입니다. 신용카드 및 체크카드 사용 내역과 현금영수증으로 처리된 비용들을 따져서 소득에서 빼주는 것이지요.

 

과세표준과 산출세액

소득이 얼마인지에 따라 세금이 매겨지는 비율이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올해 총 소득이 4,000만원인 사람은 소득의 15%를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만약 총 소득이 6,000만원이라면 소득의 24%를 세금으로 내야합니다. 이처럼 소득별로 세금의 비율을 결정하는 기준을 과세표준이라고 합니다. 아래는 대한민국의 과세표준을 정리한 표입니다.

 

과세표준

표만 봤을 때는 잘 이해가 가지 않지요? 예시를 통해 직접 계산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세표준이 4,000만원에 속하는 경우 산출세액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산출세액 : 72만원 + (4,000만원 - 1,200만원) x 15% = 4,920,000원

 

어렵지 않지요? 여러 분들의 소득이 어느 과세표준에 속하는 지 찾아 적용한 후 직접 산출세액을 구해보면 소득공제를 통해 세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여기까지 연말정산에 꼭 나오는 소득공제의 개념을 배우고 과세표준을 통해 산출세액을 계산해 보았습니다. 혹시나 새롭게 알게된 부분이 있으시다면 잘 적용하여 야무지게 혜택을 얻어내시길 바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하고 다음에는 세액공제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댓글